오미크론 자가진단키트 정확도 와 자가진단키트 자가검사키트 사용법

2022. 2. 14. 00:55정보/이슈

728x90
반응형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나흘 연속 하루에 5만명 넘는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주말에도 역대 최다규모 확진자가 나오면서 재택치료자는 처음으로 20만명을 넘어섰다. 신규 확진자와 재택치료자가 폭증하면서 정부는 자가검사키트의 온라인 판매를 중단했다. 고위험군 외엔 재택치료를 통한 자가관리 방침을 유지할 예정이다.




13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역대 최다인 5만6431명을 기록했다. 지난 10일(발표일 기준) 이후 나흘 연속 5만명대를 이어갔다. 주말에도 불구하고 이틀 연속 역대 최다 확진자 수를 갈아치우면서 누적 확진자는 135만630명으로 불어났다.

대규모 확진으로 재택치료자 수도 하루 사이에 1만명 이상 늘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신규 재택치료 환자를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과 그 외 '일반관리군'으로 나눴다. 집중관리군에게만 하루 2회 건강 모니터링을 시행한다. 60세 이하 경증·무증상 환자는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돼 스스로 건강상태를 관찰하다가 발열 등 증상이 생기면 동네 병·의원에서 비대면 진료를 받거나 상담센터에서 의료상담을 받아야 한다.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의 온라인 판매는 이날부터 중단돼 약국과 편의점에서만 구입할 수 있다. 1인당 최다 구매수량도 5개로 제한됐다.


자가검진키트 정확하게 쓰려면?

전문가의 손을 거치지 않는 만큼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손을 깨끗이 씻는 게 필수입니다. 검체 채취 과정에서 오염을 막기 위해서죠. 다음으로 튜브의 덮개를 벗겨내고 제품 포장용기에 있는 구멍에 튜브를 꽂아 수평을 맞춰줍니다.

검체는 면봉을 콧구멍 안쪽 1.5~2cm 깊이에 넣은 뒤 10회 둥글게 표면을 문질러서 채취합니다. 이후 이 면봉을 앞서 개봉했던 튜브 속 끝까지 넣어준 뒤 또 10회 이상 둥글게 저어야 합니다. 면봉을 빼내기 전 튜브에 담은 채 한 번 쥐어짜준 뒤 필터캡으로 튜브를 닫습니다.

이젠 검사기를 개봉할 차례입니다. 검사기를 평평한 곳에 눕힌 뒤 검체추출액을 세 방울 정도 떨어뜨려줍니다. 검사결과가 표시되는 가운데 홈이 아닌 끝쪽 홈에 검체를 넣어야 합니다. 이후 15~30분 뒤면 검사 결과가 나옵니다 .‘C’ 부분에만 줄이 나오면 음성, C와 ‘T’ 양쪽 모두에서 줄이 나오면 양성입니다. 음성으로 나왔다면 비닐로 밀봉한 뒤 종량제 봉투에 넣어 생활폐기물로 버리면 됩니다. 양성이라면 비닐로 밀봉한 뒤 선별진료소에 제출해야 합니다.


의료현장에선 같은 방식이 적용된 전문가용 신속항원진단키트도 쓰이고 있습니다. 이 키트는 콧속 1.5~2cm 깊이가 아닌 10cm 깊이에 있는 비인두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방식입니다. 통상 코 내부에서 바이러스가 가장 많이 발견되는 위치죠. 자가검사키트는 일반인이 손쉽게 쓸 수 있도록 1.5~2cm 깊이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평가와 임상을 마친 제품이니 깊숙한 곳에서 검체를 채취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험 체크포인트 퀴즈 풀면 2,022분께 스타벅스 아메리카노를 증정하는 이벤트

 

deg.kr


자가검사키트의 정확도는 기준을 무엇으로 보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품목 허가 시에 제품 성능을 확인하는 지표로는 민감도, 특이도가 쓰입니다. 민감도는 양성 검체를 양성으로 판정하는 정확도, 특이도는 음성 검체를 음성으로 판정하는 정확도입니다. 전염성이 큰 코로나19 같은 질환을 검사할 땐 양성 환자를 잡아내기 위한 민감도가 특히 중요합니다. 국내 자가검사키트 5종의 민감도는 90~95%로 업체별 편차가 있지만 특이도는 100%로 동일합니다.

일선 현장에서는 이보다 정확도가 낮게 나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8일까지 전국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실시한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4만1016건 중 유전자증폭(PCR) 검사로 최종 확진된 비율은 70.5%(2만8905건)였습니다. 기기 평가를 위해 통제된 환경에서 이뤄지는 임상과 달리 실제 현장에선 감염 시기, 감염자 비율도 제각각이라 정확도가 낮게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죠.

다만 이렇게 현장에서 확인한 정확도를 품목 허가 기준으로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상황에 따라 수치가 달라지는 만큼 제품 평가가 일관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에이아이더뉴트리진과 같은 일부 진단업체는 신속진단이 가능한 PCR 진단키트를 개발 중입니다.

 

 

보험 체크포인트 퀴즈 풀면 2,022분께 스타벅스 아메리카노를 증정하는 이벤트

 

deg.kr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