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13. 23:22ㆍ정보/이슈
한국 브랜드인척 한국 이미지 내세워서 해외 진출한 중국 회사가 있다고 합니다.
그 브랜드의 이름은 바로 무무소 mumuso
이런일이 발생된 원인
가장 근본적으로는 한국이라는 국가 자체가 크나큰 브랜드가 되기 때문이다. 사실 아래 이유만이라면 굳이 한국산으로 위장할 이유는 없다. 20세기 전반에는 별볼일이 없었지만, 한강의 기적을 거쳐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21세기 이후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국제적 위상과 신뢰도는 굉장히 높은 축에 속한다.
경제를 보면 IMF에서 선정한 PPP GDP 기준 및 명목 GDP 기준으로 전체 GDP가 1조달러 이상, 1인당 GDP 상위 10개국에 포함되는 나라이며 2017년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실제 소득 수준 역시 예전에는 넘사벽으로 느껴졌던 일본과 비슷한 수준인데다, 한국인의 구매력은 2022년 기준으로 일본 보다 높고 영국과 맞먹는 등등 경제적으로도 소수 상위 국가에 속한다.
이런 한국의 문화 역시 이미 영향력이 크다. 과거에는 한국 현대문화도 제3세계 수준의 인지도에 불과했으며 당대 개도국의 문화상태가 그렇듯 외산문물 표절이나 차용 도용등이 숱해졌으나 시대와 생활수준이 발전하면서 이런 악습도 어느정도 개선되고 있다. 영국 홍보컨설팅 업체인 포틀랜드커뮤니케이션에서 발표한 순위에 따르면 한국의 소프트파워는 2019년 기준 12위로, 이른바 한류라고 하는 한국 문화 전반의 위상을 점점 넓혀가는 중이다.
이러다보니 (사실이든 사실이 아니든) 한국제, 한국 태생 작품은 뭔가 세련된 것이라는 인상이 유효해졌고(특히 그런 인식이 강한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진출을 위해) 그러한 한국 문화, 즉 한류의 위상을 도용하려는 시도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혹은 회사 국적이 국제적으로 혹은 특정 국가에서 불리하게 작용하는 점을 회피하려는 목적도 있다. 외교 마찰이나 역사적 반감으로 인한 악감정이 심하다면 그 나라 회사의 제품 자체를 불매하거나 불매 운동이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아예 다른 나라, 그 중에서도 소프트파워가 강하고 특히 진출국에 좋은 이미지를 얻고 있는 한국 국적으로 위장하는 것이다.
'정보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크론 전파력 : 델타보다 빠르고 감기와 같은 증상 (0) | 2022.02.16 |
---|---|
오미크론 자가진단키트 정확도 와 자가진단키트 자가검사키트 사용법 (0) | 2022.02.14 |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 선물 추천 + 회사 여자 여친 선물 고백 멘트 초콜릿 추천출처 (0) | 2022.02.13 |
발렌타인데이 초콜릿 : 인기 많은 명품 초콜릿 TOP 10 (0) | 2022.02.13 |
모더나 부작용 탈모 20대 여성 근황 (0) | 202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