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식
주식 재무제표 보는 법 : 유동비율, 유동자산, 유동부채
양파도림
2022. 2. 4. 11:08
728x90
반응형
주식 재무제표 보는 법 : 유동비율, 유동자산, 유동부채
1. 유동비율이란 무엇인가?
동적인 자산(현금성자산)의 흐름을 알아보는 지표
유동비율이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이다. 흔히들 유동성이 좋다라고 할 때 이 지표값을 말하기도 한다.
즉 회사가 부채와 같은 돈을 지급해야할 사항이 놓였다면 그 지급해야할 사항에 대해 지불능력치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값이 크면 클 수록 아무래도 지불능력이 좋다는 의미이고 기업이 현금성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예시로 삼성전자를 보자.
아래는 삼성전자의 3분기 연결재무상태표다.
유동비율은 200%가 넘으면 이상적인 기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위 사진대로 본다면 자산 : 212,793,019백만원, 부채 : 81,871,964백만원으로 나와 있다.
계산해보면 (212,793,019/81,871,964)*100 = 259.90%가 나오는데 이 말은 부채보다 자산이 2배이상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말했던 것처러 유동비율이 200%가 넘으면 이상적인 기업인데 삼성전자는 역시나 이상적인 기업이다.
주식 투자시 가치투자를 한다면 꼭 이부분을 체크하길 바란다.
반응형
LIST